맨위로가기

인터넷 카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넷 카페는 공공 장소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갖춘 시설을 의미한다.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에서 PC와 온라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연결한 '전자 카페'가 등장했고, 1990년대 초 미국과 캐나다, 영국 등에서 인터넷 카페가 생겨났다. 이후 PC방이라는 이름으로 발전하여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성행했지만, 가정 내 인터넷 보급과 스마트폰 사용 증가로 인해 쇠퇴하는 추세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 문제와 규제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며, 대중문화 속에서도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카페 - PC방
    PC방은 개인용 컴퓨터를 갖추고 네트워크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업 시설로, IMF 외환 위기 이후 확산되어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최근에는 음식과 음료를 판매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e스포츠 문화 확산 및 청소년 사교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지만, 청소년 인터넷 중독, 불법 행위, 노동 착취 등의 문제점과 관련 법규 및 정책 준수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인터넷 카페
인터넷 카페
만화 킷사 나고야 역
일본의 인터넷 카페
종류
업종서비스업
서비스 종류인터넷
온라인 게임
만화
음료
간식
식사
특징
요금제시간제 정액 요금
이용 연령 제한대한민국: 청소년보호법에 따라 만 19세 미만 청소년의 22시 이후 출입 금지
일본: 각 점포의 판단에 따름
관련 용어
관련 용어PC방
만화 카페
복합 문화 공간
코믹 벤치
스파 벤치

2. 역사

인터넷 카페의 기원은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찾을 수 있다.

SF 넷(SF Net) 로고 (1993년경),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1994년 런던에 문을 연 초기 인터넷 카페 중 하나인 사이버리아(Cyberia).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카페.


2010년대 초반, 스마트폰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인터넷 카페는 큰 경제적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한국의 인터넷 카페 수는 2010년 19,000개에서 2012년 15,800개로 17% 감소했으며, 개발도상국의 인터넷 카페는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13] 중국에서는 2011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엄격한 규제로 인해 지난 6년 동안 130,000개의 인터넷 카페가 문을 닫았으며, 그 결과 144,000개로 줄었다.[14] 한 업계 컨설턴트는 2012년에 그 수가 136,000개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13]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인터넷 카페가 도박 규제를 회피하거나 언어 학습자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계속 사용되었다.[15] 2021년 현재, 한국에서는 온라인 게임을 위해 인터넷 카페가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16]

일본에서는 1990년대에 가정에 보급되지 않았던 인터넷을 WWW 열람을 위한 설비로 아키하바라 등의 전기 상가에서 영업했다. 2001년 이후 컴퓨터 본체 가격 저렴화, 도입 비용 감소, 규제 완화에 따른 ADSL 모뎀 판매 시작,[42] 전기 통신 사업자만 설치 공사가 허용되었던 모뎀 설치가 개인에 의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면서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인터넷 상시 접속(ADSL)을 정액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면서 보급되었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만화 카페의 부속 설비 중 하나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도입이 추진되었다.

한국에서는 '''PC방'''(PC방, '''PC 部屋'''의 의미), '''PC 카페''', 대만에서는 '''왕카'''(왕카, '''넷'''[網路]'''카페'''[咖啡店]의 약자), 중국에서는 '''왕바'''(Wǎng Bā)라고 불리며, 한국·중국(대만)·베트남 등에서는 게임 센터처럼 이용되며, 젊은이들의 넷 게임이나 e스포츠 참가는 자택 등보다 오히려 인터넷 카페에서 활발해졌다. 북한에도 인터넷 카페는 존재하지만, 이용 요금이 비싸 많은 일반 시민이 이용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여러 문제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세계적으로 모습을 감추고 있지만, 인터넷 보급 과정에 있는 지역에서는 인터넷 카페를 통해 웹을 이용하는 수요가 존재하며, 인터넷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43]

2. 1. 인터넷 이전의 온라인 카페

1988년 3월, 안상수(홍익대학교 교수)와 금누리(국민대학교 교수)는 대한민국 서울 홍익대학교 근처에 '전자 카페'를 열었다. 이 카페는 두 대의 16비트 컴퓨터를 전화선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모두 지원했다.[1]

1991년 7월, 웨인 그레고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SFnet 커피하우스 네트워크를 열었다. 그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전역의 커피하우스에 동전 투입식 컴퓨터 단말기를 설치했다. 이 단말기는 FIDOnet 메일과 인터넷 메일 등 다양한 전자 서비스를 제공했다.

2. 2. 인터넷 카페의 등장

1994년 초, 이반 포프는 런던 현대 미술관(ICA) 행사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카페의 개념을 고안했다.[2] 같은 해 6월, 캐나다 최초의 인터넷 카페인 더 바이너리 카페가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문을 열었다.[3] 9월에는 영국 런던에 사이버리아가 문을 열었고,[4] 8월에는 미국 최초의 상업 인터넷 카페인 더 하이 테크 카페가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문을 열었다.[6]

1993년 9월, 핀란드 헬싱키에 컴프카페라는 바가 설립되었으며, 1994년 10월 인터넷 접속과 로봇 맥주 판매기를 갖춘 더 큰 부지로 이전했다.[7][8] 1995년 1월, 영국의 캠브리지에 CB1 카페가 인터넷 연결을 설치했으며, 2015년에 문을 닫을 때까지 영국에서 가장 오래 운영된 인터넷 카페였다.[9][10] 같은 해 6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스위스에 있는 스코틀랜드 바가 피에르 헴머에 의해 시작되었다.[11]

1995년 6월, 뉴욕시 이스트 빌리지 지역에 세 곳의 인터넷 카페가 문을 열었다.[12] 1996년, 인터넷 카페 서프 시티가 알래스카주 다운타운 앵커리지에 문을 열었다. 1997년 봄, 뉴욕시의 다이아몬드 지구에 최초의 코셔 사이버카페인 IDT 카페가 문을 열었다.[36][37][38][39][40]

3. 세계 각국의 인터넷 카페

대부분의 인터넷 카페는 사기업이지만, 많은 곳은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컴퓨터 접근과 교육을 제공하여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인터넷 키오스크도 있으며, 공공 장소인 공공 도서관, 공항 로비 등에 설치되어 잠시 동안 서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 지점도 있다.

인터넷 카페, 앨리스 스프링스, 호주 (2005년 사진)


많은 호텔, 리조트 및 유람선에서는 투숙객의 편의를 위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 북미 지역에서 도로 여행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많은 트럭 정류장에 인터넷 키오스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분당 약 20센트의 요금이 부과된다.[17]

인터넷 카페 비즈니스 모델의 변형은 LAN 게임방으로, 멀티플레이어 비디오 게임에 사용된다. 이는 비디오 아케이드와 아케이드 게임의 필요성을 줄이고 있으며, 이 중 많은 곳이 문을 닫거나 인터넷 카페로 합병되고 있다. 멀티플레이어 비디오 게임을 위한 인터넷 카페의 사용은 인도, 중국, 타이완, 홍콩, 대한민국, 필리핀과 같은 아시아의 특정 지역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

세계 각국의 인터넷 카페 현황
국가현황 및 특징
호주1995년 4월 4일, 시애틀의 인터넷 카페 현상에 영감을 받아 델럭스 카페에 세인트킬다에 넷카페가 문을 열었다. 호주 최초의 인터넷 카페로, 설립자로는 개빈 머레이, 리타 아리고, 크리스토퍼 보몽이 있었다.
브라질1995년 상파울루에서 몽키 파울리스타가 브라질 최초의 LAN 하우스로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의 인터넷 카페 사업 모델을 기반으로 했다.
중국2005년 기준 110,000개의 인터넷 카페가 있었으며, 100만 명 이상의 종업원이 185억위안을 GDP에 기여했다. 방문객의 70% 이상이 18세에서 30세 사이이며, 주로 컴퓨터 게임을 즐긴다.
인도모바일 인터넷 사용 증가로 인터넷 카페는 감소 추세이다. 2008년 18만 개에서 2017년 5만 개로 감소했다. IT법 규제로 인한 라이선스 문제도 감소 원인 중 하나이다.[24][25]
인도네시아2006년 도시 지역에 5,000개의 인터넷 카페가 있었다. 도시 지역에서는 "와넷", 농촌 지역에서는 "텔레센터"로 불린다.
필리핀주요 도시의 거의 모든 거리에 인터넷 카페가 있으며, "컴퓨터 상점"으로도 불린다. 일부 주요 도시에서는 18세 미만 학생의 정규 수업 시간 중 컴퓨터 게임을 금지한다.[32]
베트남거의 모든 인터넷 카페가 게임 센터로 광고하며, 저렴한 요금과 음식, 음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베트남어로 "인터넷 카페"는 quán net 또는 tiệm net이다.
미국1990년대에 널리 퍼졌으나, 가정 인터넷, Wi-Fi,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기가 감소했다. 2022년 현재, PC방은 대도시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인터넷 카페를 PC방이라고 부른다.[34] PC방은 한국 도시에 널리 퍼져 있으며, 2만 개가 넘는다.[35] 주로 젊은 세대를 위한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며, 컴퓨터 사용 요금은 평균적으로 시간당 1000KRW이다.

넷카페 난민도 참조할 수 있다.

PC방은 매장 구조상 사각지대가 많아 소매치기나 도난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도난 피해에 대해 점포는 보상·배상의 책임이 없다. 인터넷 카페 체인점의 접수 카운터 등에는 "귀중품은 모두 자기 책임으로 관리할 것"이라는 주의사항이 게시되어 있다.

3. 2. 일본

1990년대에 일본에서는 가정에 인터넷이 보급되기 전, 아키하바라 등 전기 상가를 중심으로 인터넷 WWW 열람 설비를 갖춘 인터넷 카페가 영업을 시작했다.[31] 2001년 이후, 컴퓨터 가격 저하, 규제 완화에 따른 ADSL 모뎀 판매 시작,[42] 전기 통신 사업자만 허용되던 모뎀 설치가 개인도 가능하게 되면서 인터넷 상시 접속(ADSL) 환경이 정액 요금으로 보급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만화 카페에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컴퓨터가 부속 설비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집에 컴퓨터가 없거나 고장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인터넷 상시 접속 환경이 없는 경우, 여행이나 외출 중이어서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은 인터넷 카페에서 인터넷 환경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게임 대응 컴퓨터 도입으로 만화 카페만화 단행본·잡지와 함께 집객 콘텐츠로 인기를 굳혔다. 많은 기업들이 만화와 인터넷을 복합화시킨 인터넷 카페의 체인 전개를 시작했고, 소비자 니즈 증가에 따라 대도시 중심에서 지방 도시로 출점이 가속화되어 인터넷 카페는 어뮤즈먼트 시설로 인지되었다.

장시간 체류 시 팩 요금이 적용되어 저렴해지는 점포가 많으며, 자동 적용 또는 입점 시 신고가 필요하다. 만화 카페와 복합화되거나 심야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포도 많다. 주 이용자는 젊은 남녀나 장년 남성 등이며, 일, 오락, 취미, 만남, 시간 때우기, 숙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고속 회선 보급 전에는, ADSL이나 광 회선 등의 인터넷 상시 접속 환경을 갖추지 못한 사람이나, 외출 중인 사람이 전자 메일 확인, 웹 페이지 열람, 문서 작성 등을 위해 인터넷 카페를 자주 이용했다. 고속 회선 보급 후에도,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밖에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캡슐 호텔보다 저렴하고, 인터넷, 텔레비전, 만화, 잡지, 게임, 음료 등을 이용할 수 있어 캡슐 호텔 대신 이용하는 고객층도 있다. 특히 도시에서 취업 활동을 하는 지방 대학생[44]이나 저소득층 여행객 등, 여행 경비를 절감하고 싶은 층이 해당한다. 이용 시간 종료 직전 알림 서비스가 없어, 잠들어서 시간을 초과해도 연장 요금이 자동 발생한다.

넷 카페 난민이라 불리는 일용 노동자나 가출 청소년이 장기 체류하며 사회 문제가 되기도 한다. 불특정 다수가 드나들어 부정 접속이나 넷 사기범죄에 이용되기도 한다. 넷 범죄나 점내 비품 절도 방지를 위해 입점 시나 회원 등록 시 본인 확인을 하는 곳이 늘고 있으며, 신분 증명서 제시를 요구하거나, 사진이 있는 신분증, 금융 기관의 현금 카드나 신용 카드, 병원 진찰 카드 등을 확인하기도 한다. 이는 조례의 규제 강도나 점포의 방침에 따라 다르며, 공적 신분 증명서 제출이 필수인 곳도 있다.

일반적인 개인실 좌석의 모습(도쿄)


사용 좌석(컴퓨터)은 지정하거나, 비어 있는 오픈석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금연석과 흡연석(일부는 가열식 전자 담배만 허용)으로 나뉘며, 가나가와현은 간접 흡연 방지 조례로 전 좌석 금연 혹은 완전 분연이다.

점포에 따라 객석 LAN 단자를 개방하거나,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여, 노트북, 휴대 정보 단말 (태블릿, 스마트폰 등), 휴대용 게임기 등의 반입을 허용하기도 한다. 무선 LAN은 점포 자체 설치 또는 특정 공중 무선 LAN 서비스 계약으로 설치된다.

풍속 영업 등의 규제 및 업무의 적정화 등에 관한 법률(풍영법)에 따라, 면적 5m2 이하 개인실 설치 시 도도부현 공안위원회에 신고해야 한다.

객실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싱글 개인실 좌석플로어 좌석의 주류. 옆 좌석 시선을 신경 쓰지 않아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이용자가 많다. 은 잠글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잠금 가능하거나 오토락을 사용하는 점포도 있다. 조례나 자율 규제로 미성년자(18세 미만)는 개인실 이용이 불가한 점포도 있다.
하이 스펙 좌석싱글 좌석과 같지만, 온라인 게임 유저 등을 위해 고성능 컴퓨터를 설치. 온라인 게임에서의 인터넷 카페 한정 특전·이벤트가 설정되기도 한다.
페어 좌석2인용 좌석. 싱글 유스로 이용 가능한 점포도 있다. 2006년 개정 풍영법으로 밀실 개인실에 가까운 커플 좌석은 규제를 받게 되어, 경시청 지도를 받은 일본 복합 카페 협회 가맹 점포는 커플 좌석의 밀폐형 문을 철거하고 웨스턴 문 등 개방형 문, 창문 등으로 변경했다. 도도부현 조례로 문 설치 자체가 불가한 곳도 있다. 2인 동시 조작을 위해 컴퓨터 2대가 설치된 경우도 있다.
플랫 좌석오자시키처럼 평평한 좌석. 신발을 벗고 이용하며, 편안하게 쉴 수 있다. 할증 요금을 징수하거나 통상 요금으로 이용 가능한 점포도 있다. 나이트 팩 이용자에게 인기.
리클라이닝 좌석등을 젖혀 편안하게 쉴 수 있다. 할증 요금 또는 통상 요금으로 이용 가능하다.
마사지 좌석마사지 체어를 이용. 할증 요금 또는 통상 요금으로 이용 가능하다.
거실가족이나 3명 이상 그룹 이용 시 편리한 큰 방.
오픈 좌석



사각지대가 많아 소매치기나 도난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점포는 보상 책임이 없다. 체인점 접수 카운터 등에는 "'''귀중품은 자기 책임으로 관리'''" 등이 게시되어 있다.

요금 선불 시 사용 후 퇴실해도 되지만, 컴퓨터 재시동으로 사용 기록 삭제가 권장된다. 2003년 인터넷 카페 컴퓨터에 설치된 키로거로 비밀번호 유출 사건[45] 발생 후, 이용자 소프트웨어 설치나 설정 변경을 막기 위해 컴퓨터 계정 권한을 "표준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했다. 재시동 시 이용자 설치 소프트웨어, 인터넷 열람 기록 등이 삭제되는 하드 디스크 초기 설정 복원 소프트웨어가 개발, 보급되었다. 은행, 증권 계좌 인터넷 거래, 메일, ISP 접속 비밀번호, 신용카드 정보 등 중요 정보는 인터넷 카페 이용을 피하거나, 사용 전후 컴퓨터 재시동으로 위험을 회피한다.

회선, 프로바이더 계약이 필요 없고 불특정 다수 이용으로 이용자 특정이 어려워 인터넷 사기 등 범죄에 악용되기도 한다. 게시판 비방, 범죄 예고 문제도 발생하여, 게시판 게시 규제나 사이트 자체 규제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컴퓨터 바이러스 살포, 메일 폭탄, DoS 공격 등 공격 소프트웨어, 파일 공유 소프트웨어 이용으로 회선 대역 점령 문제도 있어, 외부 소프트웨어 사용 규제도 많다. "표현의 자유"를 벗어난 비방은 휴대 전화, 자택 컴퓨터뿐 아니라 인터넷 카페 게시 행위도 명예 훼손죄로 입건 검토된다.[46]

위생 문제도 지적된다. 24시간 영업형은 대규모 청소가 어렵고, 폐쇄 공간 장시간 체류로 인플루엔자, 결핵 등 감염증 만연 위험이 있다.

화재, 지진, 황화수소 자살 대책이 우려된다.[47] 공동 화장실, 샤워실 화재나 황화수소 자살 시 일반 고객 피해, 인터넷 카페 난민화된 단골 고객 자살 유발 가능성이 높다.

오사카부2006년부터 "개정 청소년 건전 육성 조례" 시행[48]으로 신분 증명서 제시, 회원제 등으로 미성년자 심야 입점 금지 등 규제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쿄도2010년 3월 인터넷 단말 이용 영업의 규제에 관한 조례 성립, 7월 1일 시행으로 신분증 복사 수집 규제 강화,[49] "일본 복합 카페 협회" 동의 점포는 회원제를 채택한다. 협회 가이드라인에 "회원제 채택 노력 의무" 포함. 미디어 카페 포파이도 2008년 4월부터 일부 점포 제외 회원제로 전환했다. 만화 랜드, 만보 등은 비회원제, 신분증 제시 불필요를 유지한다.[50]

신분증 확인 주장과 함께, 개인 정보 유출 위험으로 방범 카메라 설치로 사용자 특정으로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다.[51] 신분증 확인, 방범 카메라 설치 모두 범죄 방조 해당 여부, 형사상·민사상 책임 차이가 없으며, 공동 불법 행위 손해 배상은 연대 채무이므로 신분증 사본으로 사용자 특정 여부와 관계없이 인터넷 카페는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51] 형사 책임은 신분증 확인 방법 미채택이 방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적 견해 제시, 악질 이용자 방범 카메라 영상, 로그 경찰 제공으로 방조죄 혐의를 면할 수 있다.[51] 사용자 특정 강화는 "밟고 다니는 소프트웨어" 설치로 인한 억울한 누명, 빈곤층 이용 불법 아르바이트 범죄 등 한계가 있다.[52]

접속 내용 규제 방법도 시도된다. 돗토리현 2008년 4월 1일 "개정 청소년 건전 육성 조례"[53], 히로시마시 2008년 7월 1일 "청소년과 전자 미디어의 건전한 관계 만들기에 관한 조례"[54][55] 시행으로, 18세 미만(이용자 연령 확인 불가 시 '''모든 이용자''') 유해 정보 열람 방지 필터링 소프트웨어 도입 의무화, 위반 시 벌칙(돗토리현. 개선 명령 미이행 시 최고 50만 엔 이하 벌금) 또는 사업자명 공표(히로시마시)가 있다.

점포 구조 규제도 강화. 2008년 5월 21일 "일본 복합 카페 협회"는 일부 가맹점 실내 시야 확보 미준수로 서류 송검. 2008년2월 18일 히로시마현 경찰, 히로시마 중앙 경찰서, 히로시마 동 경찰서는 히로시마현 공안 위원회 허가 없이 실내 칸막이 5m2 이하 개실 설치, 음식 제공 혐의로 미디어 카페 포파이 2점포, 운영 기업 산코를 풍속 영업 등의 규제 및 업무의 적정화 등에 관한 법률 위반(구획석 음식점 무허가 영업)으로 수색. 히로시마현 경찰 지도에도 개선되지 않아 전국 최초 수색. 5월 15일 산코, 사장, 점장 등 히로시마구 검찰청 서류 송검. 긴급 집회 개최, 가이드라인 준수 성명문 발표.

2010년 3월 도쿄도 의회 신분증 제시·확인 의무 인터넷 단말 이용 영업의 규제에 관한 조례 성립, 7월 1일 시행으로


  • 사업 철수, 타 점포 이전: 기분 전환(현: 게라게라)는 "시스템 도입 1000만 엔 소요" 이유로 사업 철수.[56]
  • 만화 카페 전환
  • 일부 컴퓨터 철거, 비회원 개방
  • 컴퓨터 잠금 기능 도입, 비회원 개방

등의 영향 발생.

3. 3. 중국

중국 청두의 인터넷 카페


중국에서는 인터넷 카페를 왕바(网吧, Wǎng Bā)라고 부른다. 2005년 중화인민공화국 문화부의 "중국 인터넷 카페 산업 조사"에 따르면, 중국 본토에는 110,000개의 인터넷 카페가 있었으며, 100만 명 이상의 종업원이 중국 본토의 국내총생산(GDP)에 185억위안을 기여했다. 인터넷 카페 방문객의 70% 이상이 18세에서 30세 사이이며, 90%가 남성, 65%가 미혼, 54%가 대학 졸업자이다. 방문객의 70% 이상이 컴퓨터 게임을 즐기며, 중국 인터넷 사용자의 20%가 인터넷 카페를 이용한다.

3. 4. 기타 국가

브라질에서 몽키 파울리스타가 도입한 초기 개념은 대한민국의 인터넷 카페의 사업 모델을 기반으로 했다.[23] 이는 브라질 최초의 LAN 하우스였으며, 1995년 상파울루에서 문을 열고 영업을 시작했다. 이 회사는 2010년에 문을 닫았다. 그러나 관료주의적인 이유로 불과 일주일 뒤에 Lan Game @ The House가 개업했으며, 오늘날 브라질에서 가장 활발한 LAN 하우스이다. 현재 브라질에서는 새로운 기술을 시험하고 게임 및 기타 제품을 시연하는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도에서 여행객과 사업가들이 이용하는 인터넷 카페는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널리 보급되면서 감소하고 있다. 문서나 웹페이지 인쇄와 같은 다른 서비스도 제공된다. 운영자들은 또한 일부 정부 절차를 통해 컴퓨터 문맹자들을 돕는다(인도의 전자 정부의 일부). 느린 모바일 인터넷 속도와 인터넷 카페에서 제공하는 이러한 서비스가 생존에 도움이 된다. 인도에서는 대부분의 주에서 인터넷 카페 사용자는 유효한 정부 신분증을 소지해야 한다. 2008년에는 인도에 18만 개의 사이버 카페가 있었지만, 2017년에는 5만 개로 감소했다.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IT법의 규정으로 인해 라이선스 문제와 기타 제약이 발생했기 때문이다.[24][25]

인도네시아 리아우의 인터넷 카페


APWKomitel(지역 사회 인터넷 센터 협회)에 따르면, 2006년 인도네시아 도시 지역에는 컴퓨터/프린터/스캐너 대여, 교육, PC 게임, 인터넷 접속/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5,000개의 인터넷 카페가 있어 컴퓨터나 인터넷 접근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26] 웹사이트에는 인도네시아의 일부 와넷/텔레센터/게임센터가 목록으로 등재되어 있다.[27] 도시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이름이 와넷(또는 "warung Internet")이며, 농촌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이름이 텔레센터이다. 와넷/넷카페는 일반적으로 하향식 이니셔티브로 사유화되어 운영되는 반면, 농촌 마을의 텔레센터는 일반적으로 상향식 자금 지원 방식으로 정부 또는 기부자가 자금을 지원한다.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인터넷 카페나 와넷을 운영하는 데 특별한 면허는 필요하지 않으며, 카페나 소규모 상점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사업자 등록증만 있으면 된다. 시간당 사용료는 2500IDR–15000IDR 사이이다.[29][30]

필리핀에서는 인터넷 카페가 주요 도시의 거의 모든 거리에 있으며, 대부분의 시 또는 마을에 최소한 한 곳 이상 있다. '''컴퓨터 상점''' (종종 '''컴샵'''으로 축약됨)으로도 알려져 있다. 커피숍과 쇼핑몰에도 인터넷 카페가 있다. 고급 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 체인점에서도 식사하는 사람들에게 무료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때때로 일부 인터넷 카페에서는 기기 수리, 인쇄 또는 복사, 기타 서비스를 제공한다. 요금은 길거리에서는 시간당 10페소(0.2달러) 이하, 쇼핑몰에서는 시간당 최대 100페소(2USD)까지 PC 사양에 따라 다양하다. 인터넷 카페를 규제하는 기존 조례가 있는 일부 주요 도시에서는 18세 미만의 학생은 정규 수업 시간 동안 컴퓨터 게임을 하는 것이 금지된다.[32]

베트남에서는 거의 모든 인터넷 카페가 게임 센터로 광고한다. 많은 인터넷 카페는 시간당 0.2달러에서 0.75USD에 해당하는 상당히 저렴한 요금을 부과한다. 음식과 음료와 같은 서비스도 종종 이용 가능하다. 베트남어로 "인터넷 카페"는 ''quán net'' 또는 ''tiệm net''이다(''quán'' 또는 ''tiệm''은 "상점"을 의미하고, ''net''은 "인터넷"을 의미한다).

1997년 봄, 뉴욕시의 다이아몬드 지구에 문을 연 IDT 카페가 최초의 코셔 사이버카페로 알려져 있다.[36][37][38][39][40] 미국의 인터넷 카페는 1990년대에 널리 퍼졌지만, 가정 기반의 이메일 및 광대역 인터넷 접속 지점의 확장, 이후 Wi-Fi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인기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2022년 현재, PC방은 미국 대도시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게임 센터는 동아시아에 비해 미국에서는 인기가 적다. 아시아의 게임 센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인터넷 접속, 음식 및 음료를 제공한다.

4. 법적 문제 및 규제

2003년, 이지인터넷카페(EasyInternetcafé) 체인은 고객이 불법 다운로드한 음악을 CD 굽기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CD에 구우면서 발생한 저작권 침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을 받았다.[18]

2005년 이탈리아는 테러 방지 법안이 통과된 결과로 인터넷 카페와 같은 사업체에 고객의 여권 사본을 수집하도록 요구하기 시작했다.[19]

2010년까지, 미국 특정 지역에서 "경품 응모소"로 알려진 인터넷 카페의 변형이 널리 퍼졌다. 이 시설들은 인터넷 사용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경품 응모소는 불법 도박의 한 형태라고 주장하는 지방 정부의 조사를 받았고, 여러 주에서 이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했다.[20][21][22]

독일과 같은 유럽 국가에서는 복잡한 규제, 높은 인터넷 보급률,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의 광범위한 사용, 그리고 비교적 많은 수의 무선 인터넷 핫스팟의 조합으로 인해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터미널의 총 수가 감소하고 있다. 독일의 많은 펍, 바, 카페는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지만, 인터넷 카페 규정이 터미널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터미널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인터넷 카페 규정과 비디오 아케이드 센터를 위해 제정된 규정이 적용되어 18세 미만은 출입이 금지되는 등, 청소년들이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위해 인터넷 카페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인터넷 카페는 사각지대가 많아 소매치기나 도난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점포는 도난 피해에 대한 보상·배상의 책임이 없다. 따라서, 인터넷 카페 체인점의 접수 카운터 등에는 "귀중품은 모두 자기 책임으로 관리할 것"이라는 주의사항이 게시되어 있다.

컴퓨터를 재시동하여 사용 기록을 지우고 퇴실하는 것이 권장된다. 2003년에는 인터넷 카페의 컴퓨터에 설치된 키로거에 의해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사건[45]이 발생하여, 컴퓨터 계정 권한을 "표준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이후, 재시동하면 이용자가 설치한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열람 기록 등이 삭제되는 하드 디스크 초기 설정 복원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은행이나 증권 계좌의 인터넷 거래, 메일, ISP 등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 신용카드 정보 등 중요 정보는 인터넷 카페에서 이용을 피하거나, 사용 전후 컴퓨터 재시동을 통해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인터넷 카페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자 특정이 어려워 인터넷 사기 등의 범죄 행위에 이용되기도 한다. 게시판에 개인이나 기업에 대한 비방 중상이나 범죄 예고를 쓰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여, 게시판 사이트에의 게시를 가게 측이나 사이트 측에서 규제하기도 한다. 컴퓨터 바이러스 살포, 메일 폭탄, DoS 공격 등의 공격 소프트웨어 이용, 파일 공유 소프트웨어 이용으로 회선 대역을 점령당하는 경우도 있어, 외부 소프트웨어 사용이 규제되는 경우도 많다. "표현의 자유"를 벗어난 비방 중상 행위는 명예 훼손죄로 입건이 검토되고 있다.[46]

24시간 영업형 인터넷 카페의 경우, 인플루엔자결핵과 같은 감염증이 만연할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화재지진 등의 긴급 사태, 황화수소 자살에 대한 대책이 우려된다.[47]

오사카부에서는 2006년부터 "개정 청소년 건전 육성 조례"가 시행[48]되어, 미성년자의 심야 입점을 금지하는 규제 강화가 실시되고 있다.

도쿄도에서는 2010년 3월에 신분 증명서의 제시·확인 의무를 규정한 인터넷 단말 이용 영업의 규제에 관한 조례가 성립, 같은 해 7월 1일부터 시행되어, 신분증 복사 수집에 의한 규제가 강화되었다.[49] 일본 복합 카페 협회는 점포 운영 가이드라인에 "회원 제도 채택의 노력 의무"를 포함하고 있어, 회원제를 채택하는 점포가 대다수이다. 그러나, 만화 랜드나 만보 등과 같이 비회원제, 신분 증명서 제시 불필요를 채택하는 점포도 있다.[50]

신분증에 의한 본인 확인을 주장하는 의견과 함께,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 때문에 방범 카메라 설치로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다.[51] 후자의 의견에 따르면, 인터넷 카페가 채택하는 사용자 특정 방법과 관계없이, 인터넷 카페는 공동 불법 행위에 의한 손해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51] 형사상의 책임에 대해서는, 신분증에 의한 사용자 특정 방법을 채택하지 않는 것은 방조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적 견해 제시 및 악질적인 이용자에 대한 방범 카메라 영상과 로그를 경찰에 제공함으로써 방조죄 혐의를 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51] 사용자 특정 강화에 의한 방범에는 한계가 있다.[52]

접속 내용 규제에 의한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돗토리현에서는 2008년 4월 1일부터 "개정 청소년 건전 육성 조례[53]"가 시행되었고, 히로시마시에서는 2008년 7월 1일부터 "청소년과 전자 미디어의 건전한 관계 만들기에 관한 조례[54][55]"가 시행되어, 필터링 소프트웨어 도입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위반 시 벌칙 또는 사업자명 공표가 있다.

점포 내 구조에 대한 규제 강화도 진행되고 있다. 2008년 5월 21일, 일본 복합 카페 협회는 일부 가맹 점포가 실내 시야를 나쁘게 하지 않는다는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서류 송검되었다. 2008년 2월 18일, 히로시마현 경찰 및 히로시마 중앙 경찰서·히로시마 동 경찰서는 히로시마현 공안 위원회의 허가 없이 실내를 시야가 나쁘게 칸막이로 구분하여 면적 5m2 이하의 개실을 설치하고, 음식을 제공한 혐의로, 히로시마시 나카구의 미디어 카페 포파이 2점포 및 운영 기업인 산코를 풍속 영업 등의 규제 및 업무의 적정화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수색했다. 5월 15일, 산코 및 사장과 점장 등 관계자를 히로시마구 검찰청에 서류 송검했다.

2010년 3월에 도쿄도 의회에서 신분 증명서 제시·확인 의무를 규정한 인터넷 단말 이용 영업의 규제에 관한 조례가 성립, 같은 해 7월 1일부터 시행된 것을 받아, 사업 철수, 타 점포로 이전, 만화 카페로 전환, 일부 컴퓨터 철거 및 비회원 개방, 컴퓨터 잠금 기능 도입 및 비회원 개방 등의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기분 전환(현: 게라게라)는 "시스템 도입에 1000만이 든다"는 이유로 사업을 철수했다고 한다.[56]

5. 쇠퇴와 미래

2010년대 초반부터 LTE 및 5G NR 등 향상된 하드웨어와 더 빠른 인터넷 연결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인터넷 카페는 큰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 19,000개에서 2012년 15,800개로 인터넷 카페 수가 17% 감소했으며, 개발도상국의 인터넷 카페는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13]

중국에서는 2011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엄격한 규제로 인해 지난 6년 동안 130,000개의 인터넷 카페가 문을 닫았으며, 그 결과 144,000개로 줄었다.[14] 한 업계 컨설턴트는 2012년에 그 수가 136,000개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13]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인터넷 카페가 도박 규제를 회피하거나 언어 학습자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계속 사용되었다.[15] 2021년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온라인 게임을 위해 PC방이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16] 한국에서 인터넷 카페는 PC방이라고 불리며, 한국 도시에 널리 퍼져 있으며 2만 개가 넘는다.[35] PC방은 주로 젊은 세대를 위한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며, 컴퓨터 사용 요금은 평균적으로 시간당 1000KRW(약 0.88USD) 정도이다.[34]

일본에서는 1990년대에 아직 가정에 보급되지 않았던 인터넷을 WWW 열람을 위한 설비로 아키하바라 등의 전기 상가에서 영업했다. 2001년 이후 컴퓨터 본체 가격 저하 및 도입 비용 감소, 규제 완화에 따른 ADSL 모뎀 판매 시작[42], 전기 통신 사업자만 설치 공사가 허용되었던 모뎀 설치가 개인에 의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면서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인터넷 상시 접속(ADSL)을 정액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지면서 보급되었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만화 카페의 부속 설비 중 하나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도입이 추진되었다.

한국에서는 PC방, 대만에서는 '''왕카'''(왕카, '''넷'''[網路]'''카페'''[咖啡店]의 약자), 중국에서는 '''왕바'''(Wǎng Bā)라고 불리며, 한국·중국(대만)·베트남 등에서는 게임 센터처럼 이용되며, 젊은이들의 넷 게임이나 e스포츠 참가는 자택 등보다 오히려 인터넷 카페에서 활발해졌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여러 문제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세계적으로 모습을 감추고 있지만, 인터넷 보급 과정에 있는 지역에서는 인터넷 카페를 통해 웹을 이용하는 수요가 존재하며, 인터넷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43]

6. 대중문화

영화 비치프로포즈는 인터넷 카페를 주요 배경으로 삼아 중요한 플롯을 전개한다.[41]

참조

[1] 웹사이트 Cyber Internet History Museum http://eng.i-museum.[...] Eng.i-museum.or.kr 2009-09-24
[2] 웹사이트 Computers: More theorists than you could shake a stick at: Rupert https://www.independ[...] 1994-03-18
[3] 서적 Security and Software for Cybercafes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4]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Café Cyberia in London, takes a bow : A decade of Internet cafés https://www.nytimes.[...] 2004-09-02
[5] 웹사이트 Café Culture History, Part 5: The History of the Cybercafé https://artsemerson.[...] 2012-03-23
[6] 뉴스 Here's to the Techies Who Lunch https://query.nytime[...] 1994-08-27
[7] 웹사이트 Tällainen oli Helsingin CompuCafé, "maailman ensimmäinen nettikahvila", jota esittelevää videota ihastellaan nyt ulkomaillakin https://www.hs.fi/ny[...] Nyt 2016-09-28
[8] 웹사이트 1995 video promo for internet cafe puts Finland on the hi-tech map https://inktank.fi/1[...] 2016-10-10
[9] 간행물 Coffee and a byte? http://www.xs4all.nl[...] 1994-12-06
[10] 웹사이트 CB1 Internet cafe closed https://kevintangoda[...] 2016-03-19
[11] 학술지 Informatique – Le premier "cybercafé" romand s'est ouvert hier à Fribourg http://newspaper.arc[...] 1995-06-28
[12] 뉴스 New York's Latest Virtual Trend: Hip Cybercafes on the Infobahn https://www.latimes.[...] 1995-06-29
[13] 웹사이트 Internet cafes in the developing world find out what happens when everyone gets a smartphone https://qz.com/14873[...] 2013-11-20
[14] 웹사이트 China Shutters 130,000 Internet Cafes as It Seeks More Control https://www.pcworld.[...]
[15] 웹사이트 The Weird, Sketchy History of Internet Cafes https://gizmodo.com/[...] 2015-11-20
[16] 웹사이트 4 Facts You Should Know About Korean Internet Cafes Or PC Bangs - Korea Truly https://koreatruly.c[...] 2022-06-29
[17] 웹사이트 Internet Web Stations http://www.fjcomm.co[...]
[18] 웹사이트 EasyInternetcafe loses CD burning court battle https://www.theregis[...] 2003-01-28
[19] 학술지 Want to check your e-mail in Italy? Bring your passport. http://www.csmonitor[...] 2005-10-04
[20] 뉴스 Gambling Raids Hit Cafes https://www.wsj.com/[...] 2012-08-22
[21] 학술지 The Casino Next Door http://www.businessw[...] 2011-04-21
[22] 뉴스 'Sweepstakes' Cafes Thrive, Despite Police Misgivings https://www.nytimes.[...] 2010-05-06
[23] 웹사이트 The @ Game http://taglan.blogsp[...] Taglan.blogspot.com 2011-07-19
[24] 뉴스 Growth of cyber cafes declining sharply https://economictime[...]
[25] 뉴스 The last cyber cafes of India - ETtech https://tech.economi[...]
[26] 웹사이트 Home of APWKOMITEL http://www.apwkomite[...] Apwkomitel.org
[27] 웹사이트 Warnet di Sumatra http://www.apwkomite[...] Apwkomitel
[28] 웹사이트 http://www.i4donline[...]
[29] 웹사이트 wsis-online.org http://wsis-online.o[...] wsis-online.org
[30] 웹사이트 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 http://www.itu.int/w[...] Itu.int
[31] 뉴스 Japan homeless living in Internet cafes http://news.bbc.co.u[...] BBC 2009-03-21
[32] 웹사이트 Internet Cafe City Ordinance - Philippines http://www.icafeproj[...] iCafeProject 2012-06-19
[33] 뉴스 V Košiciach oficiálne otvorili Internet Café s prístupom do celosvetovej počítačovej siete https://www.sme.sk/c[...]
[34] 문서 Korean, Bang
[35] 뉴스 The future is in South Korea https://money.cnn.co[...] CNN 2006-06-14
[36] 뉴스 First, there was the cybercafe. Now, the kosher cybercafe https://web.archive.[...] 2013-06-20
[37] 웹사이트 Food Timeline, Food & the Internet http://www.foodtimel[...] 2013-06-20
[38] 뉴스 Kosher cafe makes itself into a cybercafe https://news.google.[...] 2013-06-21
[39] 웹사이트 Kosher cybercafe http://news2.nnyln.n[...] 2013-06-21
[40] 뉴스 Food Megabite, Anyone? This Cybercafe Is Kosher https://www.nytimes.[...] 2013-06-21
[41] 웹사이트 Most Popular Internet Cafe Movies and TV Shows https://www.imdb.com[...]
[42] 뉴스 NTTのADSL、端末売り切り制で月500円引き。ADSLモデムの価格は約2万円の見通し http://itpro.nikkeib[...] 2014-03-14
[43] 문서 The Weird, Sketchy History of Internet Cafes https://gizmodo.com/[...]
[44] 뉴스 ネットカフェで節約…地方学生、苦肉の就活拠点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0-03-27
[45] 간행물 ネットバンクで1600万円が突然消える https://web.archive.[...] 日経BP社 2014-03-14
[46] 뉴스 ブログ炎上 ネットカフェからも中傷 http://www.yomiuri.c[...] 2014-03-14
[47] 뉴스 ネットカフェ:男性自殺 硫化水素検知し140人避難 https://web.archive.[...] 2014-03-14
[48] 문서 (改正)大阪府青少年健全育成条例-会員制について http://www.mpo.ne.jp[...]
[49] 문서 東京都青少年の健全な育成に関する条例-第16条 http://www.reiki.met[...]
[50] 웹사이트 大宮ネットカフェ立てこもりから25時間経過で「身分確認あれば…」の声も 東京都以外では義務化されず https://www.tokyo-sp[...] 2021-06-19
[51] 문서 自由で安全なネットカフェ協議会
[52] 문서 ネット犯罪研究白書
[53] 문서 鳥取県青少年健全育成条例 http://www.pref.tott[...]
[54] 문서 青少年と電子メディアとの健全な関係づくりに関する条例を制定しました(その1) http://www.city.hiro[...]
[55] 문서 青少年と電子メディアとの健全な関係づくりに関する条例を制定しました(その2) http://www.city.hiro[...]
[56] 문서 出典:日刊スポーツ 2010年3月27日付。
[57] Youtube ネットカフェ難民漂流する貧困者たち https://www.ntv.co.j[...] 日本テレビ 2007-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